첫 번째 백준에서 풀었던 문제들을 깃에 자동 추가하는 프로젝트가 과거에 풀어져 있던 문제들을 깃에 추가하는
프로젝트 였다면, 바로 이어서 시작한 두 번째 프로젝트는 푸는 문제마다 깃에 추가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.
처음에는 문제를 제출하면 자동으로 백준 사이트를 몇 분에 한 번씩 크롤링 하면서 코드를 추가할 예정이였다.
그러나 첫 프로젝트를 하면서 로그인을 하지않으면 코드를 볼 수 없고, 프로그램으로 로그인하는 것이 리캡챠로
막혀있기 때문에 딱히 떠오르는 방법이 없어서 프로그램을 실행 해둔 뒤, 명령어를 주면 백준에서 가장 최근에 맞은
문제 번호를 크롤링해와서 내가 IDE에서 푼 코드를 문제 번호를 파일명으로 파일을 생성한다. 그리고 그 파일을 깃에
추가하고 커밋까지 자동으로 해두고, 푸시명령어를 받아서 지금까지 커밋된 파일들을 한 번에 푸쉬하도록 해두었다.
크롤링도 첫 번째 프로젝트에서 충분히 해보았고, 파이썬도 첫 번째 프로젝트와 학교 수업(싸강이긴 하지만)을
들으면서 조금 익숙해졌기 때문에 두 번째 프로젝트(RTbojTOgit이라고 이름을 붙였다)는 빠르게 끝낼 수 있었고,
또 백준 문제는 데스크탑에서 푸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, 윈도우용으로 이식도 해보았다.
어차피 파이썬이라 파일경로 정도 바꾸는 수준이었지만 앞으로는 풀 때마다 편하게 커밋할 수 있으니 만족!
이제 또 언제 스스로 필요에 의해서 개발을 하게될까?는 모르겠지만 스스로 공부를 하게되는 좋은 계기였다.
https://github.com/MingNine9999/algorithm/blob/master/RTbojTOgit.py
MingNine9999/algorithm
Contribute to MingNine9999/algorith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20.04.03
'프로그래밍 > Ming프로젝트 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.06.14 전종설 프로젝트 마무리 (0) | 2020.06.17 |
---|---|
20.05.30 전종설 프로젝트 진행 사항 (0) | 2020.06.03 |
20.05.28 전종설 프로젝트 진행 사항 (0) | 2020.05.28 |
20.04.18 전종설 프로젝트 시작 (0) | 2020.04.22 |
20.03.29 백준에서 풀었던 문제들 깃 허브에 자동 추가 (0) | 2020.03.29 |